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재난안전 강화와 지방소멸

by Jessy12 2024. 12. 12.
반응형

행정안전부 2025년 예산: 재난안전 강화와 지방소멸 대응에 집중

2025년도 행정안전부 예산안이 확정되며, 국민 안전과 지역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본격 추진됩니다. 총 예산 규모는 72조 839억 원으로, 이를 통해 재난안전 강화, 지방소멸 대응, 디지털정부 발전, 사회통합 실현 등 여러 분야에 걸친 핵심 사업이 진행될 예정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행정안전부 2025년 주요 예산안과 사업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.


1. 재난안전 분야: 1조 6681억 원 편성

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재난 상황에 대비하고 주민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재난안전 분야에 총 1조 6681억 원이 편성되었습니다.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재해위험지역 정비: 8803억 원
    재난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정비하여 안전성을 높입니다.
  • 사유시설 및 공공시설 복구비: 1200억 원
    자연재해로 피해를 입은 시설의 복구를 지원합니다.
  • 지능형 CCTV 관제체계 구축: 51억 원
    인공지능(AI)을 활용한 고도화된 관제 시스템을 구축해 화재 등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합니다.

이러한 사업을 통해 예기치 못한 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사전적 안전 인프라를 강화하고,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계획입니다.


2. 지방소멸 대응 및 지역경제 활성화: 1조 4300억 원 투자

지방 인구 감소 문제 해결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1조 4300억 원이 투자됩니다. 주요 사업은 아래와 같습니다.

  • 지방소멸대응기금: 1조 원
   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기반시설 조성을 지원합니다.
  • 빈집 정비 지원: 100억 원
    지역 내 방치된 빈집을 정비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합니다.
  • 청년마을 조성: 75억 원
    청년층의 지역 정착을 돕는 거주 및 창업 지원 인프라를 구축합니다.
  • 지역발전 활성화: 53억 원
    지역 내 경제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.

이 사업들은 특히 지역 여건을 개선하고, 청년층 유입을 유도해 지역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


3. 디지털정부: 정보시스템 혁신에 8213억 원 투자

디지털정부 분야에는 총 8213억 원이 배정되었습니다. 정보시스템의 안정적 운영과 행정 혁신을 목표로 하는 사업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

  • 중앙행정기관 노후 장비 통합: 1627억 원
    행정기관의 노후화된 IT 장비를 통합하여 효율성을 높입니다.
  • 범정부 AI 공통기반 구축: 54억 원
    AI 기술을 활용한 행정 서비스 혁신을 지원합니다.

이 외에도 디지털 서비스 접근성과 안정성을 개선해 국민들이 더 편리하게 정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입니다.


4. 사회통합: 국민 화합을 위한 7169억 원 배정

사회통합 분야에는 7169억 원이 편성되어 국민 화합과 치유를 위한 다양한 사업이 진행됩니다.

  • 제주 4·3사건 보상금: 2419억 원
    역사적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지원이 이뤄집니다.
  • 온기나눔 캠페인 운영: 6억 원
    나눔문화를 확산하고 국민 대통합 가치를 실현합니다.
  • 지방자치 30주년 기념사업: 8억 원
    지방자치의 성과를 돌아보고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기념행사가 열릴 예정입니다.